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“옛날의 KT는 잊어라.”</P> <P>‘올 뉴 KT’를 기치로 KT의 수장이 된 이석채 회장은 취임 5개월여 만에 통신업계를 술렁이게 했다. <BR>이 회장은 성장 답보 상태에 놓인 KT의 숙원사업인 KT-KTF와의 합병을 성사, <BR>1981년 한국전기통신공사로 출범한 지 29년 만에 대대적인 개혁을 이뤄냈다. <BR>경쟁사인 SK와 LG 측의 거센 반발도 뚝심으로 밀어붙여가며 합병 작업을 마무리했다. </P> <P>합병은 KT가 컨버전스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첫 단계다. <BR>KT의 유선 점유율은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90% 벽이 무너진 상태다. <BR>작년 11월 KT 유선전화 가입자는 2049만 가구까지 내려앉았다. <BR>올해는 KT가 정해 놓은 유선 가입자 이탈 마지노선인 2000만 가구 이하로 감소할 전망이다. </P> <P>이처럼 KT의 최대 수익원으로 꼽혀온 유선전화 서비스 시장이 급감하고 있는데다, <BR>인터넷전화 번호이동제로 인해 유선전화 매출의 내리막길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. <BR>따라서 합병이란 KT에게 최후의 수단이자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. </P> <P>이 회장의 숨 가쁜 행보는 공식 취임 첫날부터 시작됐다. <BR>성장을 멈춘 주력 시장과 추락하는 이익률, 떨어진 임직원들의 사기 등 <BR>KT가 위기상황에 처했다고 진단, 취임 첫날 기업쇄신을 위한 ‘비상경영’을 선포했다. </P> <P>특히, 남중수 전 사장의 구속으로 실추된 ‘국민기업’ KT의 이미지 쇄신을 위해 <BR>가장 먼저 뿌리부터 바꾸겠다는 소신 아래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임원 인사를 마무리했다. <BR>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